초등 학습 길잡이

1학년 2학기 수학, 이렇게 준비하세요 | 단원별 핵심 정리와 학습 준비

자람나무 2025. 8. 15. 23:12

수학 교과에는 수와 연산, 도형, 측정, 규칙성, 자료와 가능성의 다섯 가지 영역이 있습니다. 교과과정은 이 영역들을 고르게 다루면서도, 학기별·학년별로 같은 주제를 반복하며 점차 심화해 나갑니다.

방학은 아이에게 숨을 고르고 충분히 쉬는 시기이지만, 동시에 학습에서 막힌 부분을 풀고 2학기를 준비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이기도 합니다. 이 시기를 그냥 흘려보내면 다음 학기와 학년에서 더 큰 어려움이 돌아옵니다.
이 글에서는 자녀의 2학기 수학을 알차게 준비할 수 있도록 단원별 점검 방법과 복습 경로를 안내하고자 합니다.

 

 

 

 

수학은 나선형 학습입니다

수학은 한 번 배운 내용을 다음 단계로 이어가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같은 주제를 학년마다 다시 배우지만, 내용은 점점 깊어지고 범위가 넓어집니다.

예를 들어 시계 단원은

  • 1학년 2학기: 정시와 30분 읽기
  • 2학년 2학기: 시·분 단위 계산
  • 3학년 2학기: 시간의 합과 차를 구하는 복합 계산


수 개념도 마찬가지입니다.

  • 1학년: 한 자리와 두 자리 수
  • 2학년: 세 자리 수와 네 자리 수
  • 3학년: 분수와 소수 등장

이런 구조에서는 어느 한 단계에서 막히면 그 다음 단계에서 더 크게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그래서 2학기를 준비할 때는 새 내용을 예습하는 것보다 이전 단계의 개념이 확실히 이해됐는지를 먼저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학년 2학기 수학 단원별 정리

1단원. 100까지의 수

60, 70, 80, 90 알아보기

 

99까지의 수 알아보기

예) 사탕이 10개씩 묶음 7와 낱개 14개가 있습니다. 사탕은 모두 몇 개 있을까요?

수의 순서

예) 73과 78 사이에 있는 수는 모두 몇 개인가요?

수의 크기 비교

예) 가장 큰 수에 ⚪표, 가장 작은 수에 △표 하세요. (칠여섯, 일흔셋, 67, 아흔둘)

예) 두 수의 크기를 비교하여 ⚪안에 >, <를 알맞게 넣으세요. 86 ⚪ 79

짝수와 홀수

예) 다음 수 중에서 홀수를 찾아 써 보세요. (6, 13, 25, 34, 47, 51, 70)

2학기 첫 단원에서는 숫자의 범위를 50에서 100까지 넓혀 배웁니다. 1학기에서 다진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 개념을 바탕으로, 두 자리 수 전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연습이 이어집니다.

1학기와의 연결

1학기에는 50까지의 수를 읽고 쓰는 훈련을 했습니다. 이제 60, 70, 80, 90 같은 10단위 수를 정확하게 익히고, 그 사이 수를 순서대로 배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방법과 짝수·홀수 개념도 함께 다룹니다.

점검 포인트

💜 1부터 50까지 읽기와 쓰기가 정확한지 확인합니다.
💜 10단위 수의 순서가 헷갈리지 않는지 살펴봅니다.
💜 두 수를 비교할 때 십의 자리부터 비교하는 습관이 있는지 점검합니다.

지도 방법

생활 속 숫자(달력, 버스 번호판, 엘리베이터 층수)를 자주 보게 하고, 순서·비교 활동과 연결합니다.

 

 

 

2단원. 덧셈과 뺄셈 (1)

➕ 덧셈과 ➖ 뺄셈 부분은 2022 개정판에서는 2015년 버전과 순서를 조금 바꾸었더라고요.

2015년 버전은 받아올림, 내림을 하기 전에 두 자리 수의 연산을 먼저 했다면, 2022년 개정 버전에서는 받아올림, 내림을 배우고 나서 두 자리 수 연산으로 넘어갑니다. 전체적으로 배우는 내용은 동일합니다. 다만, 10을 이용하여 모으기, 가르기가 빠진 점을 선생님들께서 많이 아쉬워하십니다.

  2015년 개정 2022년 개정
덧셈과 뺄셈 (1) 받아올림이 없는 (몇십몇) ± (몇)
받아올림이 없는 (몇십) ± (몇십)
받아올림이 없는 (몇십몇) ± (몇십몇)
여러가지 방법으로 덧뺄셈하기
세 수의 덧뺄셈
10이 되는 더하기, 10에서 빼기
10을 만들어 세 수를 더하기
덧셈과 뺄셈 (2) 세 수의 덧뺄셈
10이 되는 더하기, 10에서 빼기
10을 만들어 세 수를 더하기
앞의 수를 10으로 만들어 더하기 (몇)+(몇)=(십몇)
뒤의 수를 10으로 만들어 더하기 (몇)+(몇)=(십몇)
10이 되도록 뺀 후 계산하기 (십몇)-(몇)=(몇)
10에서 뺀 후 계산하기 (십몇)-(몇)=(몇)
여러가지 방법으로 덧뺄셈하기
덧셈과 뺄셈 (3) 10을 이용하여 모으기와 가르기
앞의 수를 10으로 만들어 더하기 (몇)+(몇)=(십몇)
뒤의 수를 10으로 만들어 더하기 (몇)+(몇)=(십몇)
10이 되도록 뺀 후 계산하기 (십몇)-(몇)=(몇)
10에서 뺀 후 계산하기 (십몇)-(몇)=(몇)
받아올림이 없는 (몇십몇) ± (몇)
받아올림이 없는 (몇십) ± (몇십)
받아올림이 없는 (몇십몇) ± (몇십몇)

 

 

세 수의 덧셈과 뺄셈 방법

예) 4+1+3=?        |       7-2-3=?


10이 되는 더하기
예) 4+⬜=10     (10의 보수 관계)


10에서 빼기
예)10-⬜=7      (10의 보수 관계)


10을 만들어 더하기 (앞의 두 수의 합이 10인 경우, 뒤의 두 수의 합이 10인 경우)
예) 7+3+5=10+5=15        |        6+2+8=6+10=16

 

세 수를 더하거나 빼는 방법을 배우고, 10을 만들어 계산을 간단하게 하는 전략을 익힙니다.

 

1학기와의 연결

1학기에는 받아올림·내림이 없는 간단한 덧셈과 뺄셈을 배웠습니다. 이번 단원에서는 세 수의 계산과 ‘10 만들기’를 활용한 계산 방법이 추가됩니다.

점검 포인트

💜 받아올림·내림 없는 한 자리 수 연산이 빠르고 정확한지 확인합니다.
💜 10의 보수 관계를 훈련시켜 주세요. (1, 9), (2, 8), (3, 7), (4, 6), (5, 5)

지도 방법

블록이나 카드로 두 수를 만들고, 남은 칸을 채워 10이 되도록 하는 놀이를 해보세요.

 

 

 

 


3단원. 모양과 시각

⏰ 2015년 버전에서는 여러 가지 모양과 시계 보기가 분리되어 있었는데 2022년 개정판에서는 시계 보기를 규칙 찾기와 분리시켜 모양과 합쳐놓았습니다.   

 

여러 가지 모양 찾기
예) 일상생활에서 🟩, 🟡, 🔺모양 찾기 → 동전, 시계, 창문, 삼각김밥 등등

 

여러 가지 모양 꾸미기

여러 가지 모양 이미지

예) 모양을 꾸미는 데 🟩, 🟡, 🔺 모양을 각각 몇 개 사용했나요?

 

몇 시와 몇 시 30분 알아보기
예) 시계를 보고 몇 시인지 써 보세요.

 

 

예) 3시 30분을 나타내는 시계를 찾아 기호를 써 보세요.

 

 

1학기와의 연결

1학기에서는 네모상자, 둥근기둥, 공 모양, 이렇게 입체도형 위주로 학습했습니다. 이번 단원에서는 동그라미, 세모, 네모 모양을 배우며 본뜨기(예를 들어, 컵의 밑바닥을 종이에 대고 그리면 무슨 모양이 될까?)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그리고 아날로그 시계 읽기(정시, 30분)를 새로 배웁니다.

점검 포인트

💜 아날로그 시계에서 시침(짧은 바늘), 분침(긴 바늘)을 구별하여 시각을 읽을 수 있는지 점검합니다.

지도 방법

주사위, 캔, 공 등 생활 속 물건으로 입체도형과 그 단면을 관찰하게 하고, 교육용 아날로그 시계나 모형 시계를 활용해 현재 시각 맞히기 놀이를 합니다.

 

교육용 아날로그 시계, 모형 시계 정보 알아보기 (1, 2학년 수학 교구)

 

 

 


4단원. 덧셈과 뺄셈 (2)

받아 올림이 있는 (몇)(몇)

예) 9+69+(15)10+5=15 (뒤의 수 6을 1과 5로 가르기)

예) 9+6=(54)6=5+10=15 (앞의 수 9를 5와 4로 가르기)

 

여러 가지 덧셈하기
예) 덧셈의 법칙 배우기, 두 수를 바꾸어 더해도 합은 같다.

5+6=11
5+7=12
5+8=13
5+8=14
더해지는 수가 같고 더하는 수가 1씩 커지면 합도 1씩 커집니다.
9+9=18
9+8=17
9+7=16
9+6=15
더해지는 수가 1씩 작아지고 더하는 수가 같으면 합도 1씩 작아집니다.
6+8=14
7+7=14
8+6=14
9+5=14
더해지는 수가 1씩 커지고 더하는 수가 1씩 작아지면 합은 같습니다.


받아내림이 있는 (십몇)-(몇)
예) 12-512-(2, 3)10-3=7   (뒤의 수 5를 2와 3으로 가르기)

예) 15-9=(5, 10)-9=5-1 =4    (앞의 수 15를 5와 10으로 가르기)


여러 가지 뺄셈하기

13-4=9
13-5=8
13-6=7
13-7=6
빼지는 수가 같고 빼는 수가 1씩 커지면 차는 1씩 작아집니다.
11-8=3
12-8=4
13-8=5
14-8=6
빼지는 수가 1씩 커지고 빼는 수가 같으면 차도 1씩 커집니다.
12-6=6
13-7=6
14-8=6
15-9=6
빼지는 수와 빼는 수가 각각 1씩 커지면 차는 같습니다.

 

받아올림·받아내림 개념을 처음 배우고, 가르기 방법으로 계산하는 법을 익힙니다.


1학기와의 연결

1학기에는 받아올림·내림이 없었습니다. 이번 단원에서 (몇) + (몇) 받아올림, (십몇) − (몇) 받아내림을 시작합니다.

점검 포인트

10 만들기(보수) 짝을 빠르게 말할 수 있는지 점검합니다.
앞수·뒷수 가르기를 할 수 있는지 점검합니다. 1학기 때 했던 모으기 가르기를 복습할 수 있습니다.

지도 방법

아이들이 은근히 어려워하는 부분이니 수 가르기를 구체물로 연습하게 해주세요. 색연필이나 작은 블록, 공깃돌, 구슬 같은 구체물을 이용하여 눈으로 셈을 직접 많이 확인해봐야 감각이 길러집니다.

 

 

 


5단원. 규칙 찾기

규칙 찾기
예) 🌼 🌷 🌼 🌷 🌼 🌷 🌼 🌷 🌼 🌷 (규칙) 흰색 꽃과 분홍색 꽃이 반복됩니다.


규칙 만들기


규칙으로 무늬 꾸미기
예) 규칙에 따라 무늬를 꾸민 것입니다. 빈 칸에 들어갈 색은 무슨 색인가요?

🟥 🟨 🟩 🟦 🟥 🟨 🟩 🟦  🟥 🟨 (    ) 🟦 

 

수 배열에서 규칙 찾기
예) 16 - 13 - 10 - 7 - 4 - 1     (규칙) 16부터 시작하여 3씩 작아집니다.


표에서 규칙 찾기

예) 주어진 규칙에 따라 색칠하세요. (규칙) 64부터 시작하여 3씩 커집니다.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여러 방법으로 규칙 나타내기

예) (규칙) 피아노, 피아노, 팔레트가 반복됩니다. 피아노를 ⬜로, 팔레트를 ⚪로 나타내기

🎹 🎹 🎨 🎹 🎹 🎨 🎹 🎹 🎨

 

색·모양·수의 규칙을 관찰하고, 스스로 만들고 표현하는 활동을 합니다.

 


1학기와의 연결

규칙 찾기는 처음 배우는 내용입니다. 단순한 반복에서 시작해 수 배열·표의 규칙까지 확장됩니다.

점검 포인트

색·모양·크기 변화의 반복을 구별할 수 있는지 점검합니다.
수 배열에서 일정한 차이를 찾을 수 있는지 점검합니다.

지도 방법

블록·색종이로 패턴을 만들고, 다음에 올 항목을 예측하게 합니다.

 

 

 

 

6단원. 덧셈과 뺄셈 (3)

받아올림 없는 두 자리 수의 덧셈 (몇십몇)+(몇)  /  (몇십)(몇십)  /  (몇십몇)(몇십몇)

받아올림이 없는 두 자리 수의 덧셈


받아내림 없는 두 자리 수의 뺄셈 (몇십몇)-(몇)  /  (몇십)(몇십)  /  (몇십몇)(몇십몇)


덧셈과 뺄셈 혼합 계산

두 자리 수 연산을 받아올림·내림 없이 계산하고, 혼합 문제로 연습합니다.

이전 단원과의 연결

4단원에서 배운 받아올림·내림이 있는 계산과 달리, 이번 단원은 받아올림·내림이 없는 두 자리 수 계산을 빠르고 정확하게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십의 자리는 십의 자리끼리, 일의 자리는 일의 자리끼리 셈하는 것을 익혀야 합니다.

점검 포인트

두 자리 수의 십·일 자리 구분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지 점검합니다.
연산 기호에 맞게 계산을 선택하는지 점검합니다. (세로셈의 경우 아래에서 위를 빼버리는 친구도 있으니 꼭 훈련시켜주세요.)

지도 방법

문장제 문제를 풀며 상황에 맞는 연산을 선택하게 하고, 짧은 시간 안에 여러 문제를 풀어 집중력을 높입니다.




마무리

1학년 2학기 수학은 1학기에서 익힌 기초 위에 새로운 개념이 더해지는 시기입니다. 숫자의 범위가 100까지 넓어지고, 받아올림·받아내림 계산과 시계 읽기, 규칙 찾기 같은 새로운 단원이 추가됩니다.

방학 동안 모든 내용을 미리 공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대신 1학기에서 다뤘던 수와 연산, 도형, 비교하기, 50까지의 수 같은 기본 개념이 정확히 자리잡았는지부터 확인해 주세요. 기초가 탄탄하면 새 학기 수업에서 아이가 자신감을 갖고 참여할 수 있습니다.

작은 점검과 준비가 학기 중의 부담을 줄이고, 수학을 긍정적으로 대하는 태도를 만드는 첫걸음이 됩니다.